![[%20%20%20%20][%20%20%20%20]9eq0AlYNbH8_20220304181829.jpg](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pub3.maillink.co.kr%2Fapi%2Faicm_downimgc.jsp%3Fq%3D4afbe608301b89148d56bb9b211dc7e0eb12c9b441e57263e8f58d77ca4e434ed9f0807fd790a1dd14e37ef917b7c76df6146b7f5cd8376941339a2eb8077b42e5092d15ecfb11e76a91d038020e32bd)
● “(탈원전은) 경제의 큰
흐름을 이해하지 못한
정책 실패다."
뭉, “앞으로,60여 년 동안은 원전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살려달라는 호소 5년간 모르쇠 ...이제 와서 원전이 주력이라니…" 원자력발전 산업은 한번 무너지면 복원이 힘들다고 수차례 호소했지만 듣지 않았습니다.” 한철수 전 창원상공회의소 회장(고려철강 회장)은 27일 “(탈원전은) 경제의 큰 흐름을 이해하지 못한 정책 실패”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2019년 1월 열린 기업인과의 대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재개를 호소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에너지 정책 전환의 흐름이 중단되지 않을 것”이라며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그랬던 문 대통령이 지난 25일 “원전을 주력 기저 전원으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돌연 말을 바꿨다.
▶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3·4호기 너머로 보이는 5·6호기 건설 현장.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北..규탄”“원전 활용”, 5년 망치고
임기 끝‘면피’급급한-文 ▶ [사설]조선일보.2022.03.02 
▶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에서 열린 제103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정부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유엔 안보리 관련국 공동 성명에 처음 동참했다. 올 들어 북의 연속된 미사일 도발에 안보리 관련국이 세 번이나 ‘북 규탄’ 성명을 내는 동안 외면하다 뒤늦게 입장을 바꾼 것이다. 문 대통령은 최근 “대선을 앞둔 시기 북한의 연속 발사가 우려된다”고 했다. ‘북 규탄’ 동참도 선거와 관련 있을 것이다. 올해 ‘북 규탄’ 성명에는 베트남·캄보디아처럼 북과 가까운 나라까지 동참했다. 그런데도 최대 피해 당사자인 한국 정부는 오히려 북 심기를 살폈다. 북한 김여정이 금지했다고 ‘도발’이란 말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다. 임기 끝까지 ‘남북 쇼’할 생각에 매달렸기 때문일 것이다. 북이 핵·미사일 폭주를 하는데도 ‘평화’ 타령만 했다. 북이 극초음속 미사일까지 성공 했는데 대규모 한·미 훈련은 전부 사라졌고, 국군은 ‘대화로 나라 지킨다’는 군대가 돼 버렸다. 문 정부 5년 안보 성적표다. 바이든 미 대통령이 러시아의 핵 위협 대책 논의를 위해 EU·일본·캐나다 등 동맹국과 긴급 통화를 했지만 문 대통령은
<이 글을 복사하려면 마우스 왼쪽을 누르세요>
|